- P-ISSN 1738-656X
한국개발연구. Vol. 11, No. 2, August 1989, pp. 65-88
https://doi.org/10.23895/kdijep.1989.11.2.65
본고는 1986년 이후 우리나라의 경상수지흑자 및 수출입행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그 원인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. 1986년의 해외여건호전으로 경상수지가 흑자로 반전하게 되자 1987년 이후에는 원화를 상당히 절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경상수지흑자감소의 효과가 1988년까지는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는데, 이는 환율의 변화를 수출가격에 100% 전가하지 않으려는 기업의 가격결정정책으로 수출물량감소가 지연되고 원화절상의 J-커브효과가 발생했기 때문이다. 한편 1986년 이후 경상수지흑자기조하에서 수출입행태의 구조적 안정성을 물량적 방법으로 검증한 결과 검증방법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의 가설이 기각되기도 하였는데 특히 수출단가 및 수입물량결정행태의 경우 1985년 이전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상당한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.
F18, F32, F10